시간선택제 공무원 전환, 시간선택제 근무시간, 시간선택제 월급, 연금, 장단점
시간선택제 공무원 전환, 시간선택제 근무시간, 시간선택제 월급, 연금, 장단점
시간선택제공무원은 지방공무원임용령(공무원임용령) 제3조의 3항에 의하여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을 임용 해야 합니다.
시간선택제공무원은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습니다. 장점은 일반직 공무원과 똑같이 공무원 신분과 정년이 보장되고 근무시간을 여러가지 형태로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승진과 보수는 일반 공무원 규정에 따라 근무 시간에 비례하여 적용 받습니다. 시간선택제공무원의 단점은 주20시간을 기준하므로 초과근무을 해도 초과근무 수당이 없으며, 성과급 또한 오르지 않습니다. 수당 부분도 자격증 수당인 경우 기술 및 기능 분야 자격증에 대한 가산금이 지급되나 시간선택제 공무원인 경우 그 절반만 지급 받습니다. 시간선택제 공무원 월급은 평균 대략 130만원 정도를 지급 받습니다.
2017년 2월 27일짜 행정자치부 보도자료를 살펴보면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요구를 의무화하여 일·가정 양립문화 확산과 공공부분 일자리 창출 지원을 위해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운영할 수 있는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간선택제 근무적합분야는 요구정원의 20% 이상을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으로 해야 한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도와 관련해서 지자체 별로 시간선택제공무원 채용 과 일반직 공무원의 시간선택제 공무원으로의 전환을 확대 실시하고 있습니다.
일반직 공무원의 시간선택제 공무원으로의 전환을 살펴보면....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38조의 15항 시간선택제 근무의 전환등 이라 명시되어 있으며, 내용은 지방공무원임용령 제25조의 3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만,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전문임기제공무원,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및 한시임기제공무원은 제외 됩니다.
실제로 일반직공무원의 시간제공무원으로 전환한 공무원 인사발령 내용입니다.
공무원 기술정보수당, 기술정보수당가산금(국가기술자격 vs 국가전문자격 다른점), 운전직 공무원도 기술정보수당
'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군진급#장군인사, 여성장군 3명 (0) | 2018.01.05 |
---|---|
교직원 봉급표, 경찰,소방관 봉급표, 국립대학교 교원 봉급표, 군인 봉급표, 총장월급 (2) | 2017.07.10 |
제19대 대선(투표참여 권유활동 관련 선거법 안내) (0) | 2017.05.01 |
공무원 직무유기죄 (0) | 2017.04.29 |
선거인명부 작성 시 선거권 유무 확인 요령 (0) | 2017.04.25 |